8월 13일 프레시안은 핀란드노총(SAK) 국제국에서 일하는 페카 리스텔라(Pekka Ristela)와의 인터뷰를 기사로 실었다. (관련기사) '"경쟁? 100m 달리기 할 때만 들어본 단어입니다" [노동과 세계] 세계 최고 수준의 핀란드 교육을 묻다'라는 기사였다. 비록 이 사람이 교육 전문가는 아니었지만 우리나라와는 다른 핀란드의 교육관을 보여주었다.

이 기사에서 나에게 가장 눈에 띄었던 부분은 시험과 등수에 관한 얘기다. 많은 사람들은 보통 시험을 치면 성적이 나오고 그에 따라 등수가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시험이란 것의 역할은 그런 것이라고 어렸을 때부터 여겨져 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 핀란드인은 다른 반응을 보인다. 시험을 봐도 등수가 없고, 심지어 성적을 매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건 무슨 말장난도 아니고, 시험을 보는데 성적을 매기지 않다니. 술은 마셨으나 음주운전을 한 건 아니다의 새로운 버전도 아니고, 이건 뭥미?!'라며 다음 내용을 읽으며 순간 멍해졌다.'시험이란 이런 것이었는데, 이걸 잊고 있었구나.' 매우 당연한 것이지만 이런 당연한 것도 생각해보지 못했다니.

페카 리스텔라가 말한, 핀란드에서의 시험이란 (아니, 아마도 대부분의 나라에서의 시험이란) 학생이 얼마나 잘 이해했나를 확인하는 것이다. '너는 재보다 못했어'가 아닌, '넌 이 부분은 잘 하는데 저 부분은 다소 취약하구나'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기 위한 작업이 시험이다.

한겨레21에서 서울시 교육감후보 인터뷰를 했었는데 그 중 김성동 후보가 시험의 필요성을 역설했었다. (관련기사) 이 후보의 의견에 대해 대부분 동의할 순 없었지만 한 부분에 대해선 머뭇거렸던 적이 있다. 김 후보는 '학생의 문제점과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 시험을 봐야한다'고 했다. 김 후보를 지지하진 않지만 시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공감을 하였다. 시험의 불필요성에 대해 쉽게 이유를 댈 수 없었다. 그런데 지금에서야 이유를 댈 수 있을 듯하다. 시험은 곧 성적, 등수라는 명제가 잘못된 것이고, 시험은 단지 평가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 대화에서 다시 한 번 교육의 의미를 되새기게 했다. "교육은 누구에게나 평등한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지, 친구와 비교해 우열을 가리는 경쟁이 아니니까요"라는 그의 말. 우리가 학교에서 수업을 듣는 이유는 누가 이걸 더 잘 이해했나를 가리기 위함이 아닌, 모두가 이걸 이해하여 알길 바란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시 드는 의문 하나. '저래서 대학은 어떻게 가지?' 대학을 꼭 가야한다고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내가 묻고 싶은 것은 우리나라에서의 현실성이다. 우리나라에서 교육은 곧 대학과 동치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대학입학, 특히 명문대학 입학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성적 위주의 줄세우기식 교육은 결국 몇 등까지가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는지 가리는 것이다. 이런 현실 속에서 핀란드식 교육은 우리에게 해법을 줄 수 있을까.

한국에서 교육문제는 단순히 교육 이상의 것이다. 학벌이 중시되는 이 사회에서 명문대 입학은 포기할 수 없는 문제이고, 그러기에 이를 무시한 교육제도개혁은 결코 성공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해법은 무엇일까. 솔직히 나도 모르겠다. 내가 교육전문가가 아닐뿐더러 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어쩌면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비슷한, 아니면 더 어려운 문제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학벌을 폐지해야 한다, 서울대도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은 나온다. 그러나 공허한 외침처럼 들린다. 누진세를 통해 부자들에게 높은 세율을 매기면 부자들이 반발하듯 이미 기득권을 가진 명문대학 출신들이 학벌폐지에 찬성하기란 쉽지 않다. 학부모들 또한 그나마 학벌로 부의 계급을 뛰어넘을 수 있는 어렵지만 쉬운 수단을 잃기란 싫을 것이다.

그러면 도대체 해답은 무엇인가. 쉽지 않은 물음이다.
Bookmark and Share   AddThis Feed Button     rss?
blog comments powered by Disqus